////
Search
🪶

동물들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

야콥 폰 윅스퀼 저.
그래서 그는 동물들 안에서 단지 사물들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행위와 지각에 그 본질적 활동이 놓이는 주체들을 보게 될 것이다. 11
생리학자에게 생명체는 생리학자 자신에게 고유한 인간 세계 안에서 발견되는 대상이고 사물이다. 생리학자는 마치 기술자가 자신이 알지 못하는 세계를 검토하듯이 생명체의 기관들과 그 기관들의 작용의 조합을 검토한다. 반면에 생물학자는 생명체란 생명체 자신이 중심을 형성하는 그런 고유한 세게 속에 살고 있는 주체하는 것을 깨닫는다. 15
진드기를 둘러싼 세계의 풍부함은 세 가지 본질적인 지각적 특징들과 세 가지 본질적인 작동적 특징들로 구성된 빈약한 형태로 축소된다. 진드기의 환경세계. 그러나 환경의 빈약함은 행동의 확실성의 조건이 되며, 확실성은 풍부함보다 중요하다. 23
따라서 우리는, 진드기가 기다리는 동안 잠의 상태에 있다고 추정할 것인데, 이러한 잠은 우리, 인간에게도 마찬가지로 얼마간의 시간을 중지시킨다. 단지 진드기의 환경세계 속에서는, 기다림의 기간 동안 몇 시간만 정지되는 것이 아니라 수년이 정지되며, 그 시간은 오로지 낙산의 신호가 진드기에게 새로운 활동을 불러일으킬 때 다시 실질적인 시간이 된다. 25
우리는 너무나도 자주 다른 환경세계의 주체가 대상들과 유지하는 관계들이, 우리 인을 인간적 세계의 사물들과 연결하는 관계들과 동일한 공간, 동일한 시간 속에 놓여있다고 생각해왔다. 그런 착각은 살아있는 전 존재들을 포함하는 유일한 세계에 대한 믿음에 근거한다. 그로부터 모든 살아있는 존재들에 대해 하나의 시간과 하나의 공간이 존재할 것이라는 공통의 의견이 생긴다. 물리학자들이 살아있는 전 존재들에게 타당한 하나의 공간만을 포함하는 우주를 의심하게 된 것은 불과 최근 몇 년 전의 일이다. 29
멂이 시각적 공간을 가두는 방식이 어떠하든 그러한 멂은 늘 존재한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우리는 우리 주위에서 자연을 생기 있게 만드는 동물들 - 초시류들, 나비들, 파리들, 모기들, 잠자리들-을, 자신의 시각적 공간의 한계를 정하고 주체로서의 그들 자신에 대해 가시적인 모든 것은 그 안에 가두는 투명한 원형집에 갇힌 동물들처럼 표상할 수 있다. 각 원형집은 다른 장소들을 수용하며, 각 원형집 안에서 작동적 공간의 차원이 발견되는바, 이 차원이 그 공간에 어떤 견고한 구조를 부여한다. 날아가는 새들, 나뭇가지들을 기어 오르는 다람쥐들, 초원의 풀을 뜯어먹는 소들, 모든 동물들은 가자 자신의 공간의 한계를 표시하는 원형집으로 둘러싸여 있다. 47
이토록 이성적이면서도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문장은 근래 처음이다. 세상의 다양함과 삶을 살아가는 주체와 그들이 누비는 공간과 시간이 그려진다.
(지렁이가 잎과 솔잎을 다루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며) 이 사례는 극복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는 난국들을 자연이 어떤 식으로 우회할 수 있게 하는지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