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MSV 인클루시브 디자인 인사이트_21

MSV 임팩트 레터 21 [청각장애를 고려한 디자인이 모두를 위한 디자인으로]

2023.03.15

임팩트 레터 리뷰를 시작하며

수어에 관심이 생긴 것은 작년 겨울 초입의 일이었다. 이전 글에서부터 조금씩 언급했던 세미나 ‘포용적 큐레이팅이팅이란 무엇인가; 동시대 장애 예술의 급진성’에 참석하게 되었을 때가 그쯤이었기 때문이다. 장애인이 예술의 객체가 아닌 주체로서 부상하고 참여하기 위해서 어떤 변화가 있어야 할지 다양한 사람들이 의견을 나누었다. 비장애인이 여럿 있었다는 것이 아니라, 정말 다양한 몸들이 그 자리를 빛내고 있었다. 장애인 예술가, 예술활동 지원가, 교수, 장애인 큐레이터 등의 사람들이 말이다. 세미나는 2시간 정도 이어졌는데 마무리는 모두가 두 주먹을 쥐고 수어와 음성언어로 마무리했다. 그 광경이 참 낯설고도 설레어서 그날 수어를 배워야겠다고 다짐했다. 직접 농인들과 수어를 통해 대화를 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자인을 해보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던 것 같다.
포용적인 큐레이팅이란 무엇인가?라는 세미나의 홍보 포스터
겨울 방학을 이용해서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수어 표현만이라도 배우려고 노력했다. 하나의 언어를 익히는 거니까 오래 걸리리라는 것을 짐작했으나 생각보다 더 어려워서 자꾸만 손이 꼬였다. 그래도 어렵게 연습을 이어가면서 수어가 매력적이고, 직관적이며, 표현이 풍부한 언어라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언젠가 농인 사회에서 내 수어 이름을 걸고 대화를 하는 모습을 그리면서 오늘 다루는 MSV 임팩트 레터를 즐거운 마음으로 골랐다.

‘청각장애를 고려한 디자인이 모두를 향하는 과정’에 관해

이 글의 문을 여는 것은 수어 사용자이자 인터랙션 디자이너인 Marie van Driessche(마리 반 드리셰)의 세미나 이야기다. 그녀는 자신과 사회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장애를 ‘장애화’하는 것이 세상이라는 현실을 강조한 것이다.
“나는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다. 사회가 내게 장애를 부과하는 것일 뿐.”
마리는 장애에 대한 인식이 점차 긍정적이고 확장적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사회에 남아 있는 ‘장애화’ 흔적들을 공유했다. 이런 사회에서 그녀는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목표가 ‘각자의 삶을 온전하게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온라인 상에서 청각장애를 지닌 사람(수어 이용자)들이 편하게 인터넷 자원을 이용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녀가 제시한 방법들이 청각장애인을 넘어 모두를 향해 있다는 사실이다.
마리는 읽기 쉬운 글을 구성하기 위해 신경쓰고 보조 자료 준비하는 것만으로도 청각장애를 지닌 사람들뿐만 아니라 모두를 위해 더 나은 글을 쓸 수 있다고 설명한다.

밑줄 그은 문장과 생각

최근 들어서 사라 헨드렌이 쓴 책 <다른 몸들을 위한 디자인>을 읽다가 인상 깊은 구절을 발견했다. ‘세상에는 무한한 복잡성으로 인해 괴롭힘을 당하거나 강화된 몸이 있고, 도구의 세계가 그 몸과 경관, 다른 말로 Hardscape(하드 스케이프) 사이의 어색함을 다양하게 이어주고 있다는 사실이었다.’라는 부분이었다. 이걸 읽으면서 ‘저자가 말한 ‘도구’가 인클루시브 디자인일 때 현 사회의 부조화를, 정말 많은 것을 바꿀 수 있겠구나’하는 생각을 했었다.
나의 어렴풋한 생각은 이번 MSV 레터를 읽으면서 사라와 마리의 말이 교차되는 것을 발견한 그 순간, 현실이 되었다. 장애는 개개인의 문제가 아닌 하나의 몸이 사회와 부조화하는 것이며, 특정한 ‘도구’가 몸과 사회의 격차를 매워줄 수 있다는 사실 말이다. 특히, 마리가 제시한 청각장애인을 가이드 라인이 더 나은 이해와 소통을 위한 매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조 했을 때는 더 그랬다.
오늘 레터에서 가장 간직하고 싶은 말 중 하나는 “프리사이즈 티셔츠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모두를 같은 사이즈의 옷에 욱여넣는 대신 개개인의 몸에 맞춘 옷을 만들어야 합니다.”라는 것이었다. 사라와 마리의 말이 가리킨 그 교차점을 따라가다 보면, 정말로 포용적인 세상이 오고, 또 그걸 넘어서 더 나은 사람들의 경험을 바꿀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클루시브 디자인이 모두를 위한 유용한 ‘도구’로서 ‘원래 인클루시브 디자인이 디자인의 기본 아닌가요?’라는 질문이 나올 정도로 널리 퍼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 별책부록

[Design for Aging: Designing Universally and for deaf, deaf-blind and hard of hearing] 세미나 후기

[나이듦에 따른 디자인: (시청각장애인을 포함한) 농인을 위한 유니버셜 디자인]
새벽에 일어나 이부자리를 정리하고 책상에 앉아 강의를 듣는 일은 대학생인 나에게 그리 익숙한 일이 아니다. 차라리 밤을 새면 모를까, 새벽 5시 반이라니…..그래도 ‘로버트 니콜라스 세미나인데 내가 어떻게 빠져!’하는 일념 하나로 제시간에 무사히 참석했다.
로버트 니콜라스(Robert Nicholas)와 척 크러쉬(Chuck Crush)의 발제가 있었는데 시니어와 시청각장애인, 청각장애인을 위해서 어떤 공간 디자인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지, 또 디자이너로서 생각해봐야 할 중요한 고민거리를 배워올 수 있었다. 특히 농인 공간(Deaf Space)에 대해서 더 잘 이해하고, 포용적인 디자인이 사용 주체의 삶을 얼마나 바꿀 수 있는지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또, 세미나를 진행하는 내내 수어 통역이 실시간으로 제공되고, 최상의 통역을 제공하기 위해서 15분마다 통역사가 교체되는 모습도 인상 깊었다. (덤으로 앞으로 영어 열심히 해야겠다는 교훈까지 얻었다…) 포용적인 삶의 방식을 고민하기 위해 모두가 각자의 새벽과 저녁을 바쳐 함께 했다는 것이 어쩐지 뭉클하게 기뻤다.
세미나를 마치고 책상에 앉아서 생각을 정리하다가 어느 책의 문장이 떠올라 그걸 적으면서 글을 마친다. 개인적으로 MSV와 맞닿아 있는 순간마다 이 문장을 되새기게 되는 것 같다.
“그들과 함께 싸우면서도 그들이 가리킨 미래가 실현될 것을 믿지는 않았다….하지만 믿어지지 않는 말을 진지하게 자꾸 반복하는 그들을 믿었다. 그런 이들을 따라가다보면 어느샌가 믿어지지 않는 세계를 살아가게 된다는 것을 나는 경험적으로 알았다.” - <집으로 가는, 길> 중
내가 글의 끝을 늘 희망찬 소망으로 맺을 수 있는 것은 누군가 포용적인 사회와 디자인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안다. 어찌보면 무책임할 수 있는 소망을 놀랍게 현실로 바꾸어주는 모든 사람들에게 후기를 통해 감사의 말을 전한다.

이번 MSV 임팩트 레터(뉴스레터) 바로가기

[msv. letter] no.21 청각장애를 고려한 디자인이 모두를 위한 디자인으로 : 인클루시브디자인 인사이트 MSV 뉴스레터
Meet Social Value, 사회적 가치를 만나는 MSV 뉴스레터에서는 '디자인의 사회적 가치'와 '포용적인 디자인' 그리고 '접근성'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다룹니다.I don’t have a disability ; society imposes a disability upon me.나는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다. 사회가 내게 장애를 부과하는 것일 뿐.글 박윤주 MSV 에디터 짧은 단발에 멋진 반스 운동화를 신은 여성이 무대 위로 올라갑니다. 20분간 이어진 인클루시브 디자인에 대한 강연은 수어로 진행되었습니다. *청인들이 강연 내용을 알 수 있도록 수어 통역사가 함께했고요. 강연자의 이름은 마리 반 드리셰 Marie van Driessche. 그는 네덜란드의 공영방송 VPRO에서 일하고 있는 인터랙션 디자이너입니다. 수화를 제1 언어로 사용하고 있는 농인이기도 하고요. 마리는 “나는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다. 사회가 내게 장애를 부여한 것일 뿐”이라고 말하며 자신이 ‘농인'이라는 것은 장애가 아닌 문화적, 언어적 특성이라고 말합니다. 장애에 대한 정의와 인식은 계속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장애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로 받아들여졌다면, 최근에는 장애를 ‘신체적, 정신적 특징과 환경 간의 부조화’로 이해하는 시각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 사람의 ‘개인적 특성’이 아닌 ‘환경적 조건’이 그가 타인과 동등한 위치에서 완전하고 효과적인 사회 참여를 하는 데 제약이 된다는 것에 대한 공감대가 생긴 것이지요.*음성언어를 위주로 의사소통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  2019년 2월 AWWWARDS conference에서 강연하고 있는 마리Ⓒawwwards.'d'eaf 와 'D'eaf의 차이 수어에 담긴 문화인클루시브 디자인을 위해선 우선 농인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마리는 소문자 d를 사용한 ‘deaf’와 대문자 D를 사용한 ‘Deaf’의 차이를 말해줍니다. deaf란 병리학적 관점에서 청력 손실에 영향을 받은 상태나 사람을 말합니다. 반면 Deaf란 ‘수어'라는 언어를 공유하는 문화적 집단에 속한 사람들을 이르는 단어입니다.수어는 국가에 따라 다르고, 지역에 따라 사투리가 있기도 합니다. 표정과 몸짓이 다양하게 쓰이기 때문에 손의 모양만으로 수어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는 없습니다. 그만의 문법 체계와 표현이 있기 때문에 수어가 다른 언어를 단순히 재구성한 표현법이라고 치부할 수는 없습니다. 하나의 독자적 언어 체계로 이해하는 게 맞겠죠. 농인들 사이에도 다양성이 존재합니다. 농인 중 높은 비율의 인구가 다른 학습 혹은 인지장애를 가지고 있습니다. 수어를 완벽하게 구사하지만 읽고 쓰는 언어는 제2외국어 수준으로 사용하는 있는 사람이 있고, 낮은 비율로 수어와 읽고 쓰는 언어 모두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이중언어 사용자도 있습니다.청각장애를 고려한 인클루시브 디자인Inclusive Design for deaf people네덜란드 정부는 농인이 업무 시간 중 수어 통역사를 대동할 수 있도록 비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IT 용어를 자주 사용하는 마리가 통역사와 합을 맞추는 데 몇 년이 걸리기는 했지만, 정부 차원에서 이와 같은 지원이 있다는 것은 긍정적인 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관리부서에 마리가 연락을 남겼을 때 “문의 사항이 있을 시 전화를 남겨주세요"와 같은 이메일이 날아왔다고 합니다. 매일 농인을 상대로 일하는 부처에서도 이와 같은 표현을 쓰는 것에서 우리는 사용자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얼마나 부재한지를 볼 수 있습니다.마리는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목표가 ‘각자의 삶을 온전하게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읽고 쓰는 언어를 제2외국어로 배우는 만큼 농인 중에는 수어가 아닌 언어에 대한 독해력이 낮은 사람이 많습니다. 이것을 고려하여 웹 디자인을 진행할 때 더 많은 사람이 인터넷에 공유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얻고, 한 사회가 제공하는 인프라에 깊게  참여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농인의 특성을 고려한 웹디자인은 농인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의 인터넷 사용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용자가 인터넷에서 글을 읽을 때 20~28% 내용만을 인식한다고 합니다. 종이에 적힌 글을 읽을 때와 온라인에서 글을 읽을 때 사람들은 다른 행동 패턴을 보입니다. 온라인에 콘텐츠를 올릴 때는 읽기 쉽게 글을 구성하고, 적절한 보조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는 마리가 이를 위해 사용하는 구체적 방법들입니다. 읽어보시면 청력이 손실된 사람들 뿐 아니라 모든 사람을 위해 필요한 내용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읽기 쉬운 글 구성하기 제목/부제목 달기한 단락당 하나의 요점만 담기한 문장은 7~10 단어로 짧게 구성하기내용을 리스트로 정리하기쉽고 접근성 높은 단어 사용하기신문 기사를 작성하듯 요점을 먼저 말하고, 설명을 덧붙여 주기능동체 사용하기전문용어나 속어 사용 지양하기다이어그램이나 미디어를 사용해 시각적 번역 자료 제공하기콘텐츠를 내용에 따라 덩어리로 나누어주기전문용어에 대해서는 설명글 달아주기 보조 자료 준비하기 자막: 긴 대본을 전부 읽는 것이나 농담, 언어유희, 동의어 등을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음을 인지하고, 콘텐츠 내용에 따라 가  장 효과적인 자막 입력 방식 선정하기연락처 제공: 전화/이메일/챗 등 다양한 연락 방법 제공하기멀티미디어: 본문 전체나 특정 부분을 수어로 볼 수 있는 옵션 제공하기 영국 수화 British Sign Language 로 연락방법을 설명해둔 North Lanarkshire Council 홈페이지ⒸNorth Lanarkshire Council우리가 없는 곳에서 우리에 관한 것을 만들 수 없다.Nothing About Us, Without Us - James Charlton수어를 음성언어로 번역해주는 장갑에 대한 뉴스는 매해 새롭게 올라옵니다. 뉴스를 볼 때마다 마리는 수어와 농인 문화에 대한 이해 없이 청인이 농인을 ‘위해' 만든 발명품의 한계를 목격합니다.수어에도 종류가 다양하고, 미국 수어 사용자는 한국 수어 사용자와 다른 언어를 쓰고 있다는 것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기에 발명가는 “이 장갑만 있으면 세상 모두와 소통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또한 수어는 손의 언어가 아니라 표정과 몸짓이 모두 사용된 언어입니다. 장갑으로 손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것만으로는 정확한 의미 전달을 할 수 없죠. 마지막으로 농인의 언어를 청인의 언어로 번역하는 것에서 소통이 완성되었다고 표현하는 것은 대화가 쌍방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간과한 말입니다. 수어가 음성언어로 번역된다 한들 농인 또한 청인의 음성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수단이 있어야겠죠.당사자가 포함되지 않는 디자인은 배제를 초래할 수밖에 없습니다. 전 세계 인구수는 80억 명에 다다르고 있고, 그 안에 담긴 다양성을 한 명의 디자이너가 모두 이해할 수는 없으니까요. 디자이너가 장애인 사용자와 ‘함께' 제품을 만들 때만 포용성 있는 제품을 만들어낼 수 있죠.강연의 말미에 마리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클루시브 디자인에 대한 정의를 공유합니다. 그들은 인클루시브 디자인이 “인류의 다양성 범위 전체를 활용하는 것이고, 거기서 배움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 것"이라 말합니다. ‘프리사이즈' 티셔츠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모두를 같은 사이즈의 옷에 욱여넣는 대신 개개인의 몸에 맞춘 옷을 만들어야 합니다. 한 사람의 특성을 깊이 이해하고, 그를 바탕으로 디자인하다 보면 어느새 다른 사람들까지도 사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풀한 제품이 탄생하는 것이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마법이죠.수어는 손만이 아니라 몸 전체와 표정을 사용한 4차원적 언어이다.ⒸMarie Van Driessche출처 Marie Van Driessche: Designing for deaf people, for everyone actuallyhttps://www.youtube.com/watch?v=KgN38LYNJOAInclusive Design: Designing for Deaf People Helps Everyone | Marie van Driesschehttps://www.youtube.com/watch?v=M0cR_HTeWUoDesigning for deaf people, for everyone actuallyhttps://interaction18.ixda.org/program/talk-designing-for-deaf-people--for-everyone-actually-van-driessche-marie/#speaker매거진 MSV와 뉴스레터 구독자 의견을 받습니다매거진MSV 와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의 인사드립니다. 어느덧 세 번째 매거진이 만들어졌지만, 매번 만들 때마다 부족함을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 또한 발송하고 있는 뉴스레터의 좋았던 점 혹은 개선하면 좋을 점에 대해 여러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저희 스스로 안주하지 않고 MSV가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그리고 지속 가능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의견 부탁드립니다. 겸손한 마음으로 듣겠습니다. 또는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제안도 좋습니다.Our philosophy아름다움에 대한 기준과 가치는 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미래에도 변하지 않을 지속가능한 가치를 위해 디자인합니다. 우리는 디자인의 역할이 심미적인 것뿐 아니라 사람을 살리고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문제해결 능력에 있다고 믿습니다.www.missionit.cowww.magazinemsv.com
#MSV #MSV인클루시브디자인인사이트 #인클루시브디자인 #MSV임팩트레터
MSV 임팩트 메이커스는 포용적인 디자인을 위한 데이터 수집, 인터뷰 등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선한 영향력을 전달할 수 이는 코넨츠를 작성합니다. 해당 리뷰는 MSV 임팩트 메이커스 1기 활동으로 소정의 활동비를 받고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