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MSV 인클루시브 디자인 인사이트_17

MSV 임팩트 레터 17 [시니어 세대를 위한 디자인]

2023.02.23

임팩트 레터 리뷰를 시작하며

올해로 연세가 81세 되시는 할머니와 함께 산지, 10년이 넘어가고 있다. 누군가의 노년에 일부가 된다는 것은 마냥 쉬운 일이 아니지만, 이 삶은 나에게 꽤 다양한 방향으로 세상을 감각할 수 있도록 허락해줬다. 오늘 다룰 임팩트 레터 ‘시니어 세대를 위한 디자인’은 나의 할머니, ‘김윤희’ 여사님을 생각하며 썼다.
할머니께서는 나이가 점점 들어가면서 무릎과 같은 관절이 약해지기 시작했다. 때문에 산책을 할 때, 장을 볼 때, 화장실을 이용할 때 등을 가리지 않고 넘어지셨다. 일상 생활에서 점점 쉽게 균형을 잃고, 걷기 불편해 하는 모습을 보면서 가족들 모두가 이제 ‘지팡이’가 필요한 것 같다고 조심스레 말을 꺼냈다. 할머니께서도 그 문제에 대해 동의를 하는 듯 하셨고, 나를 포함한 가족들 모두가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어느 날 산책을 다녀 온 후에 나에게 풀이 죽은 듯 말을 건냈다.
“원래는 이거(지팡이) 없이도 잘 돌아다녔는데, 쪽팔려서 못 다니겠다.”
“헉 할머니 죄송해요. 내가 그 생각을 못 했어요.” 그렇게 나의 사과를 필두로 온 가족이 모여서 지팡이 사용에 대한 회의를 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일단 집 내부에서는 미끄러질 만한 요소를 제거하거나 대체했고, 할머니께서 외부 활동을 하실 때는 누군가와 함께 동행을 하는 등 일단 할 수 있을 때까지는 보조기구의 사용을 늦추는 걸로 했다. 그리고 만약 보조기구가 더 필요해지면 같이 다시 이야기를 해보기로 하고 말이다.

‘시니어 세대를 위한 디자인’을 요약하며

할머니의 말 한마디는 나를 이 임팩트 레터로 이끌었다. 레터의 첫 문장이 ‘노인은 노인처럼 보이고 싶지 않거든요’.이임팩트 레터 리뷰를 시작하며니까 길게 말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웃음) MSV의 디자인 인사이트를 짧게 소개를 해보면, 이번 글은 Don Norman(돈 노먼)을 통해 ‘시니어 세대를 위한 아이디어’를, Jeff Johnson(제프 존스)와 Kate Finn(케이트 핀)을 통해 ‘고령화 인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마지막으로 메타와 에어비앤비를 통한 ‘디자인 인사이트’를 다루고 있다.
가장 먼저 Don Norman(돈 노먼)은 현재 노인들이 보조기구 사용하기를 꺼려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그것은 보조기구 사용이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사용자들을 ‘늙고 병약한 사람’이라고 인식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할머니께서 처음으로 사용하셨던 쇠 지팡이를 생각하니 내가 할머니였어도 그걸 사용하느니 차라리 집에 머물지 않았을까 하며 반성하게 됐다. 돈 노먼의 말처럼 확실히 ‘보조기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정적인 만큼, 이를 개선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다음으로는 Jeff Johnson(제프 존슨)과 Kate Finn(케이트 핀)의 고령화 인구를 위한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이야기가 등장한다. 이들은 접근성 문제에 대해서 깊게 고민을 하며 음성인식 기술이나 폰트를 디자인할 때도 고령층에 대한 상당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잘 설명하고 있다. 이들은 노인을 대상으로 최근 음성 인식 인터페이스의 발달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사회적 고립부터 비상상황 발생시까지 사용자에게 쉽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말이다. 한편, 최근 아래와 같이 선이 얇거나, 연한 회색 폰트가 유행을 타고 있는데, 이러한 유행이 노인과 저시력자 등의 접근성을 해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옅은 회색 폰트의 예시
마지막으로는 임팩트 레터에서 다룬 메타(by Rebecca.V)와 에어비앤비의 사례의 디자인 인사이트를 정리하려고 한다. 메타의 사례에서는 다양한 조건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문해력을 고려한 질적연구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온라인 문화가 활발해지고 있는 지금, 디지털 체계에서 불편을 겪고 있는 사람들의 경험에서 인사이트를 얻어야 한다고 말이다. 이때, 디지털 문해력이란 단순히 디지털 정보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서 디지털 정보를 평가 및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새롭게 창출해내는 역량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에어비앤비에서는 ‘심리적 안정과 개인의 존엄에 초점을 맞춘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었다.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해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의료진들에게 숙소를 제공하는 Frontline Stay 프로젝트를 진행한 것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는 단지 의료진뿐만 아니라, 노인의 심리적,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과도 유사하다는 ‘모두를 위한 디자인’이라는 점에서 의미있다고 해석됐다.
<디지털 문해력 연구에서 고려해야할 것>
1.
참여자 그룹에 다양성을 담아라
2.
소통의 방해물을 제거하라
3.
명료한 언어를 사용하라
4.
문헌 조사를 통해 적절한 질문을 준비하라
<트라우마 이해 기반 디자인 원칙 5가지>
1. 심리적인 안정
2. 정보에 대한 명료성
3. 개인의 의지를 존중하는 선택권
4. 관계에 초점을 맞춘 메세지
5. 디지털 접근성 약자를 고려하는 형평성

밑줄 그은 문장과 생각

글을 쓰는 내내 할머니의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할머니의 현재 모습을 넘어 나의 부모님이, 또 언젠가는 내가, 노인으로 불릴 세상을 떠올렸다. 내가 철 지팡이를 짚고 동네를 돌아다니고, 전동 휠체어를 타고 지나가는 행인들의 눈길을 받는 생각을 말이다.
‘노인은 노인처럼 보이고 싶지 않거든요.’
돈 노먼의 말과 할머니의 말이 나의 뇌리를 깊게 스친다. 노인도 똑같은 사람인데, 왜 그들이라고 해서 더 편하고, 더 멋진 디자인을 원치 않는다고 단정했을까? 점점 더 고령화되고 있는 사회에서 생각해야하는 것이 ‘모두를 위한 포용성’임을 다시금 느낀다. 한편으로 다행이라고 생각했던 것은 제프 존슨과 케이트 핀이 소개해준 것처럼 음성인식 기술과 같이 고령화 인구를 포함한 사람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할머니께서 앞으로 살아갈 날 들을 내가 디자인으로 응원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꿈을 꾸며 글을 마친다.

이번 MSV 임팩트 레터(뉴스레터) 바로가기

[msv. letter] no.17 시니어 세대를 위한 디자인 인사이트 : 인클루시브디자인 인사이트 MSV 뉴스레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모바일로 보시기에 더 편리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Meet Social Value, 사회적 가치를 만나는 MSV 뉴스레터에서는'디자인의 사회적 가치'와 '포용적인 디자인' 그리고 '접근성'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다룹니다.2025년, 65세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오분의 일인 초고령화 사회에 도달합니다. MSV 4번째 주제인 <Senior> 호에서는 이러한 이슈에 주목하여 시니어 세대의 디지털 라이프를 분석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디자인 인사이트를 수집합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성에서부터 IOT 기반의 도시까지 디지털과 접점이 되는 모든 터칭 포인트에서 시니어 세대를 고려하는 디자인과 요소들은 어떤 것들인지 찾고자 합니다.에디터 김병수, 박윤주노인은 노인처럼 보이고 싶지 않거든요사용자 중심 디자인의 아버지 돈 노먼 Don Norman이 이야기 하는 시니어 세대를 위한 디자인올해로 87세인 돈 노먼 Don Norman은 디자이너들에게 매우 친숙한 이름입니다. 인지공학 사용성 전문가인 돈 노먼이 말해왔던 감성적인 디자인 Emotional Design, 어포던스 Affordance 등은 오랜 기간 강조되어왔던 디자인의 주요 요소들이죠. 그가 말하는 시니어를 위한 디자인은 어떤 것이 필요할까요? 영상에서는 몇가지 에피소드와 함께 소개를 하고 있는데요.돈 노먼의 친구들 중에는 보행 보조기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굳이 쓰지 않으려고 하는 경향들이 있다고 합니다. 보행 보조기를 사용하며 길을 걷는 순간, ‘늙고 병약한 사람'이라는 인식을 주게 되니까요. 또한 유니버설 디자인 하면 가장 많은 사례로 강조되어왔던 옥소 OXO 의 창업 스토리도 언급합니다. 1990년대, 옥소의 창립자인 샘 파버 Sam Farber는 관절염을 앓고 있는 아내를 위해 사용이 편한 새로운 감자칼을 고안해냈습니다. 하지만 이것을 ‘관절염 환자를 위한 감자칼' 대신 ‘모두를 위한 감자칼'이라고 홍보했지요. 곧 그립감이 좋은 새 감자칼을 많은 사람들이 쓰기 시작했습니다. 샘의 아내도 포함해서요. 돈 노먼은 오늘날의 노인 보행 보조기구가 “못생겼고, 불편하다”고 말하면서 “10대도 사용하고 싶어질 만큼 기능이 좋고 멋진 보조기가 나온다면 어떨까?” 하고 묻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돈과 그의 친구들도 즐겁게 보조기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선이 얇은 폰트, 연한 그레이 폰트. 시니어 세대는 어떻게 생각할까요?제프 존스 Jeff Johnson & 케이트 핀 Kate Finn이 말하는고령화 인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Talks at Google2017년, 제프 존슨 Jeff Johnson과 케이트 핀 Kate Finn은 고령화 인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Designing User Interfaces for an Aging Population)을 출간했습니다. 수많은 고령자, 그리고 고령자를 위한 서비스를 만드는 개발자들을 만나온 그들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요? 구글의 접근성 Accessibility 팀에서 주관한 강연에 담긴 기술과 인간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전합니다. 아래는 전체 강의 내용 중 인상깊었던 QnA 섹션 일부를 담았습니다.Q: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음성 인터페이스 Voice Interface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Kate: 사용을 위해 별도로 배워야 하는 것이 없다는 점에서 큰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특별한 명령어를 익힐 필요 없이 평범하고 일상적인 대화를 할 수 있는 장치라면 더더욱 말이죠. 나이가 들면서 사회적 고립을 겪게 되는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이는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고요. 음성 인터페이스는 외로움을 어느 정도 달래줄 수도 있습니다. 제가 이 기술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 중 하나죠. 물론 떨리거나 볼륨이 일정하지 않은 고령자의 목소리를 자동 인식하는 데에는 개선이 필요합니다.Jeff: 시리나 구글나우가 충분히 스마트하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다만 API가 장착되어있어야 할 것에 장착되지 않은 것이 문제라고 봅니다.Q: 노인을 고려했을 때, 구글 서비스 중 어떤 것이 발전의 여지가 클까요?Kate: 무인자동차, 그리고 음성인식 기능이요.Jeff: 정말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만큼 검색 엔진의 개선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결과를 더 쉽게 리뷰할 수 있게 한다면 노인을 비롯한 모두에게 큰 혜택일 것입니다.Q: 선이 얇은 폰트나, 약한 색감 대비 같은 것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접근성 측면에서 유용성이 떨어지는 이런 트렌드에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좋을까요?Kate: 적극적으로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고 봅니다. iOS7이 나왔을 때 미니멀리즘이 한창 유행했는데, 정말 많은 노인분이 얇은 폰트를 아예 읽지 못하셨어요. 흰 바탕 위의 회색 글씨는 인식하기 힘들어요. 폰트 크기가 작을 때는 까만색 바탕에 흰 글자도 읽기 힘들고요. 커맨드와 플러스 버튼을 같이 눌러 화면 크기 설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고령자분은 거의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런 디자인은 노인분들의 접근성을 아예 차단하는 일이라고 볼 수 있죠.Jeff: 미래의 디자이너들에게 ‘디자인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제 UX 수업에 들어오는 학생의 상당수가 그래픽 디자인을 하게 되리라 생각하며 교실에 들어와요. 디자인을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생각하는 학생도 많고요. 하지만 디자인은 디자이너 본인이 아니라 사용자들을 위한 것입니다. 사용자가 누구이고, 무엇을 원하고, 또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알아야 합니다.디지털 문해력 : 포용력 있는 리서치에 들어가야할 필수적인 요소메타에서 말하는 디지털 문해력를 고려하는 리서치 by Rebecca V.최근 사명을 ‘메타'로 바꾼 페이스북의 ‘디자인 앳 메타' 페이지에서는 그들이 디자인을 바라보는 방식, 사회문제에 대한 디자인적 대응, 그리고 메타의 작업들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그 중 디지털 문해력 Digital Literacy에 대한 기사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디지털 문해력은 단순히 디지털 정보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서 디지털 정보를 평가 및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새롭게 창출해내는 역량을 지칭하는 개념이라 볼 수 있습니다.페이스북을 만드는 개발자와 일반적적인 사용자의 디지털 정보에 대한 이해도나 적응성은 큰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지만, 온라인 문화가 이미 정착했다는 판단에 이를 간과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이 간극을 좁히기 위해 레베카 Rebecca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낮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 진행을 제안하는데요. 다양한 사용자와의 대화는 회사가 미래에 새로운 제품을 만들 때 검증의 기준이 되어줄 수 있고, 성장 가능성이 큰 소셜 미디어 신흥 시장 개발에도 도움이 되어줄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아래에 효과적인 연구 진행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점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참여자 그룹에 다양성을 담아라. 노인, 소셜 미디어 신규 사용자, 신흥 시장 고객, 저품질 기기 사용자 등 다양한 사람이 있어야 다양한 수준의 디지털 문해력을 가진 사람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소통의 방해물을 제거하라. 웹캠 대신 휴대전화를 사용해 인터뷰를 진행하거나, 지역 행상인과 협업해 참여자를 모집하는 식으로 기기 사용의 능숙하지 못함이 소통의 방해물이 되지 않게 하라.명료한 언어를 사용하라. 페이스북만의 용어가 아닌,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설명문을 만들어라. 필요하다면 1:1로 소통하며 도움을 제공하라.문헌 조사를 통해 적절한 질문을 준비하라. 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 (self-efficacy) 즉 디지털 정보에 대해 자기 자신이 어느정도까지 스스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을지 묻는 질문을 추천한다. 가령 '해시태그는 무엇인가?' 와 같은 질문이 필요할 수 있다.출처 : https://design.facebook.com/stories/digital-literacy-a-must-for-inclusive-research심리적 안정과 개인의 존엄성을 존중하는, 위기상황을 위한 디자인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을 위한 제품개발에서 얻은 다섯가지 학습점 by Annie Wu, Experience Design Lead Airbnb에어비앤비는 2020년 3월 프론트라인 스테이 Frontline Stays를 시작했습니다. COVID-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지역 사회에 대한 봉사의 의무 사이에서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의료진들을 위해 무료로 숙박을 제공한 것입니다. 이와 함께 에어비앤비의 정보 디자인을 의학과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트라우마 이해 기반 케어 Trauma-Informed Care에 집중하여 리디자인하였습니다. 이 글에는 트라우마 이해 기반 디자인 원칙 5가지를 소개하고, 그에 맞춰 에어비앤비가 바꾼 방향 그리고 다른 디자이너들이 적용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트라우마를 위하는 것과 시니어를 위한 디자인에 무슨 관련성이 있을까요? 노인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 인지적 특성을 고려할 때 트라우마를 위한 디자인은 시니어 세대에게도 적용가능한 지점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아래 글에서 '트라우마를 겪는 의료진' 대신 '어르신'을 이용자로 넣고 생각해보아도 유용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심리적인 안정: 제품 라인업에서 보통 *이탈, 전환 또는 완료시 행동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리마인더를 제공하고는 합니다. 이는 사용자에게 심리적인 압박감을 주게 됩니다. 따라서 의료진 방문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하여 ‘리뷰' 대신 ‘피드백'이라는 이름으로 후기를 받기 시작했습니다. 작성을 요청하라는 리마인더Reminder는 제거했고, 특정 질문에 대해 답하지 않는 옵션도 제공합니다.편안한 환경에서 피드백을 할 수 있게 하였더니 그 질은 오히려 개선되었습니다.*서비스 취소, 정지, 서비스 완료 경험 등을 별도 페이지를 통해 묻는 것들 정보에 대한 명료성: 보통 디자이너들은 어떤 정보를 전달할때 흥미를 끌 수 있는 아이콘이나 일러스트를 집어넣게됩니다. 그러나 위기 상황에서는 사람들은 집중력을 잃게 되는데, 그 상황에서도 정확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시각적 즐거움보다는 정보 전달력에 포커스를 맞추어 프로그램 내용을 소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의 의지를 존중하는 선택권 : 보통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빠르게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행동의 프로세스를 단순화 하고, 선택지를 최소화 시키도록 디자인 합니다. 그러나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빠른 결정이 심리적으로 무력감을 느끼게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존엄성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그러한 선택이 가져오는 결과를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삶에 대해 자신의 통제권을 발휘하는 경험을 주는 것입니다.관계에 초점을 맞춘 메시지 : 치유는 관계에서부터 시작한다는 신념아래, 트라우마를 겪은 사용자와 함께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제가 세 가지 옵션을 제안할게요' 보다는 ‘몇 가지 옵션들을 함께 살펴봅시다'라는 식으로 게스트 문의 대응의 언어를 바꿈으로써 사람들이 자신이 혼자가 아님을 느끼게 했습니다.디지털 접근성 약자를 고려하는 형평성: 의료 비영리 재단과 파트너를 맺어 에어비앤비를 사용하는 사람 중에는 나이가 많거나 소득이 낮은 분들도 많이 있었고 이들은 상당 수가 에어비앤비를  처음 사용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특히 회원가입 단계에 있어서 어려움을 호소하는데, 로그인을 위해 이메일을 입력하는 화면을 보며 별도 회원가입 없이 이메일을 입력하면 된다고 인식하는 분들의 컴플레인도 꽤 있었습니다. 이를 회원가입 단계의 프로세스를 명료하게 제시하였고 혼란을 줄였습니다. 디지털 접근성에서 소외되어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디자인 프로세스에 함께 참여시키며, 접근성을 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삼아야 합니다.출처 : https://airbnb.design/designing-for-crisis/MSV <Play>크라우드 펀딩 시작매거진MSV 세번째 호인 <Play> 의 크라우드 펀딩이 진행중에 있습니다. MSV 3호 <Play>에서는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주어져야하는 아이들의 놀이권에 대한 평등과, 건강한 놀이를 실현할 수 있는 디자인, 아이디어들을 모색합니다.놀이의 본질에서부터, 공간 디자인, 포용력있는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인사이트를 수집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상세페이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Our philosophy인클루시브 디자인 & 미디어 컴퍼니 미션잇은 디자인의 가치가 심미적인 것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살리고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에 있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현 시대뿐 아니라 미래에도 변하지 않을 지속가능한 가치를 위해 디자인합니다. 제품, 공간, 서비스 디자인에서 위와 같은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젝트 문의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MSV #MSV인클루시브디자인인사이트 #인클루시브디자인 #MSV임팩트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