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MSV 인클루시브 디자인 인사이트_19

MSV 임팩트 레터 19 [색맹인 사람을 위한 디자인]

2023.03.04

임팩트 레터 리뷰를 시작하며

최근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더 글로리>에서는 적록색약을 지닌 캐릭터가 등장한다. 쉽게 유튜브나 SNS에서 그 캐릭터를 분석한 글이 올라오는 것으로 미루어 짐작하건데, 작품의 인기에 편승해 색약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한 듯하다. 이 덕분에 색약과 색맹에 대해 무지했던 나에게도 이 것이 하나의 계기되어, 앎의 길에 들어설 수 있었다.
‘시각에 장애가 있다’는 말은 과거의 나에게는 곧 ‘전맹’을 의미하곤 했다. MSV 임팩트 메이커스 활동을 하면서 ‘아 이제는 시각 장애에 정도나 유형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임팩트 레터를 읽고 나서 ‘색약이나 색맹’의 경험에 대해 충분히 생각치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하……아직 한참 멀었구나.’하면서도 ‘이렇게 알아가서 다행이다, 정말.’하며 나의 부족에 대한 한탄과 안도의 한숨을 동시에 내뱉으며 글을 쓰기 시작했다.
드라마 <더 글로리>에 나오는 적록색약 캐릭터(좌)와 그가 착용하는 크로마젠 렌즈. 이 렌즈는 동공이 위치하는 부분에 빨간색으로 처리가 되어있어, 적과 녹의 대비를 강하게 해줘 시각을 약간 보정해주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색맹인 사람을 위한 디자인’을 요약하며

색은 디자인에 있어서 미(美)를 더해주기도 하지만, 정보를 전달하는 가장 직관적인 요소가 되기도 한다. 이번 MSV 레터에서는 ‘’과 관련하여 웹 UX writing 디자인을 하는 Allison Shaw(앨리슨 쇼)와 Tom van Beveren(톰 반 배버렌)의 인터뷰가 담겨 있었다. 이를 통해 색이 누군가에게는 이해를 돕는 요소인 반면, 색의 사용이 누군가의 불편과 불가능을 만들 수 있음을 배웠다.
본론에 앞서, 색과 UX 디자인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색맹과 색약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할 필요가 있다. MSV 레터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색맹이라 불리는 전색맹은 명암의 정도만 구분하고 색을 구분하지 못한다. 한편, 색약은 적색약, 녹색약, 청색약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색을 인지할 수 있으나 그 대비가 크지 않아 명확한 색을 볼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듯 포용적인 디자인을 위해서는 경험을 하는 주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도 함께 느낄 수 있었다.
시니어들을 위한 디자인을 하는 앨리슨은 먼저 장애가 그렇게 ‘특수한 상황’이 아님을 설명한다. 일상적으로 모두가 잠깐이라도 경험할 수 있는 불편한 경험이 모두 장애를 가진 사람이 느끼는 경험의 일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장애와 비장애를 구분하여 제품이나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소외 받는 사람들의 경험을 디자인에 녹여내는 것이 결국 모든 사람을 포용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이끎을 주장했다.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소프트웨어 상태에서 포용적인 디자인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과 그에 대한 답이다. 앨리슨은 이렇게 말했다.
“우선 색깔을 경험하는 방식이 다양하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명암만을 구분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특정 색깔을 구분하는 일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색깔을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유일한 수단으로 삼으면 안 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색’만’ 사용하지 않으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말한다. 글자의 크기와 두께를 조절하거나, 다른 글씨체를 사용하고, 아이콘이나 선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앨리슨의 제안은 점차 확장되고 있는 현재 디지털 시대에 큰 의미가 있다. 색맹 혹은 색약뿐만 아니라 저시력자에게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간단한 아이콘과 설명을 통해 색상으로 구분을 못하더라도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해놓았다. 왼쪽에 있는 사진은 비색약인이, 오른쪽의 사진은 색약인이 봤을 때 보이는 색상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색맹 UX writer로 일하는 톰의 인터뷰가 등장한다. 그는 “색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과 ‘색을 구분하지 못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것’ 사이에는 차이가 있어요. 후자는 디자인 실패의 결과이죠.”라고 말한다.
모든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톰이 강조하는 것은 ‘대비와 색채’이다. 색약인들은 전색맹과 달리 색이 서로 다름을 인지할 수 있기에 강한 색채 대비는 그들이 어떤 색을 인지할 때 도움이 된다고 한다. 다음으로, 색채를 사용할 때 단지 색만을 유일한 소통의 도구로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세계 인구의 4%가 색맹인 만큼, 그들의 불편을 인식하고 비포용적인 웹 인터페이스를 점차 수정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밑줄 그은 문장과 생각

MSV 임팩트 메이커스로 활동을 하게된지 1달이 넘은 지금, 써왔던 글을 보면 스스로가 조금씩 발전한 것을 느낀다. MSV 활동을 하기 전에 내가 썼던 글과 지금 쓰고 있는 다른 글들에서도 그 차이를 조금씩 찾을 수 있다. 분명 첫 글의 이미지 아래에는 대체 텍스트가 없었고, ‘관점’과 ‘보인다’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했다. 또, 글자의 색을 바꿔가며 글의 내용를 강조했다. 하지만, MSV 시리즈와 임팩트 레터를 통해 포용적인 인사이트를 배워가면서 내 글도 달라지기 시작했다.
포용적인 디자인에 대해 배우고 느끼다 보니 점점 행동하고, 말하고, 생각하는 방법에도 신경을 쓰게 되었다. 오늘도 색이라는 디자인의 중요한 요소를 어떻게 포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를 배울 수 있게 되어 기쁘다. 오늘의 임팩트 레터에서 가장 기억에 남았던 한 줄은 아래의 문장이다. 레터의 중심을 잡아준 두 사람이 공통적으로 주장한 부분인데, 이 말이 나의 기억과 행동에 오래 남아 배기를 바랐다. 마치 앞선 MSV의 다른 인사이트들이 그랬던 것처럼 말이다.
색깔을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유일한 수단으로 삼으면 안 됩니다.
비어 있는 줄도 모르고 넘겼던 도화지 구석구석에 빈 곳을 채워가는 느낌이다. 글을 마치는 순간마다 자꾸만 더 크고, 넓고, 깊은 세상을 마주할 수 있을 것만 같아서. 그리고 실제로도 마주하고 있어서 그게 벅차도록 감사하다.

이번 MSV 임팩트 레터(뉴스레터) 바로가기

[msv. letter] no.19 색맹인 사람을 위해 어떻게 디자인해야할까? : 인클루시브디자인 인사이트 MSV 뉴스레터
Meet Social Value, 사회적 가치를 만나는MSV 뉴스레터는 '디자인의 사회적 가치'와 '포용적인 디자인'그리고 '접근성'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다룹니다.Design for Everyone : Color모두를 위한 디자인 : 컬러편색상은 미적인 가치를 담기도 하지만, 정보를 담기도 합니다. 신호등을 생각해보면 쉽게 알 수 있죠. 빨간색은 정지를 뜻하고, 초록색은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거나 차가 앞으로 갈 수 있도록 허락합니다. 모바일 인터페이스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로그인 화면에서 입력해야할 암호가 틀렸을 때 빨간색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종종 있죠. 그런데 색을 구분하기 어려운 사람들은 어떻게 정보를 구분할 수 있을까요?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색맹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고려하여 어떻게 디자인을 해야할지 간단한 아이디어를 소개합니다. ‘색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과 ‘색을 구분하지 못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것’ 사이에는 차이가 있어요.  후자는 디자인 실패의 결과이죠.  - Tom van Beveren에디터 김병수, 박윤주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디자인AllisonShaw, Senior Product Designer at Zendesk내가 가진 경험이 보편적인 경험이라고 믿는 건 인간의 본성입니다. 하지만 내면의 편견을 무너뜨리고, 사람들에게 정말로 필요한 것을 찾아내기 위해 디자이너들은 유저 리서치를 진행하게되는데요. 문제는 연구 대상자 풀에 다양성이 잘 담기지 않아 왔다는 거죠. 시각 장애를 가진 사람이나 손을 하나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해보신 분이 있나요? 아마 많이 없을 것 같아요.장애를 가지는 것이 아주 특수한 경우라고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장애란 “움직임, 감각, 활동 등에 어떤 제한이 되는 신체적 정신적 상태”입니다. 잠깐 목이 잠겨서 목소리가 제대로 안나오거나, 눈이 부셔서 앞을 제대로 못보는 것도 일종의 장애를 경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무릎이나 엉덩이 사용이 불편해져 휠체어를 사용하게 될 수도 있죠. 기억력이나 인지능력이 나빠질 수도 있습니다. 결국 장애는 누구나 경험하게 되는 일입니다.제품 디자인에서 또한 ‘장애를 가진 사람을 위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구분할 필요가 없습니다. 리모컨이나 턱이 없는 보행로, 옥소OXO의 감자칼 같은 것도 처음에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고려하며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많은 사람에게 삶의 일부가 되었습니다.그럼 포용성 있는 소프트웨어 디자인을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까요? 우선 색깔을 경험하는 방식이 다양하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명암만을 구분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특정 색깔을 구분하는 일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색깔을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유일한 수단으로 삼으면 안 됩니다.아래 사진의 좌측에서는 텍스트와 색깔만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모든 색깔을 인식할 수 있는 사람에게는 정보 전달이 가능하겠지만 색채 식별에 어려움을 가진 사람이 보게 된다면 오른쪽 사진처럼 보이겠죠. 효과적인 정보 전달의 실패입니다.색 구분이 어려운 사람한테는 우측처럼 보일 것이다 ⒸAllisonShaw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는 아닙니다. 정보전달을 위해 색깔이 아닌 다른 시그널을 추가하면 됩니다. 아이콘이나 설명문을 삽입할 수도 있고요, 글씨 굵기나 스타일,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밑줄을 추가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하단 사진은 위에서 컬러로만 구분한 것을 개선하여 링크에는 밑줄을 긋고, 옵션의 가능 여부는 아이콘과 텍스트의 추가로 보충 설명해줬습니다. 간단한 아이콘과 설명을 통해 색상으로 구분 못하더라도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해놓았다 ⒸAllisonShaw디자인 초기 단계에서 포용성을 고려한 제품과 그렇지 않은 제품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코펜하겐에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안내 블록을 본 적이 있습니다. 도보에 점자블록이 완전히 박혀있었죠. 길을 처음 만들 때부터 다양한 사용자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소프트웨어 디자인을 할 때에도 포용성에 대한 고려를 시작단계에서부터 근간으로 삼으면 사용자에게 큰 기쁨을 선사할 수 있을 것입니다.출처 : https://www.invisionapp.com/inside-design/designing-for-inclusivity/색맹을 염두에 두고 디자인하면 모두를 위한 디자인이 됩니다Tom van Beveren, Founder of We are Colorblind우선 색맹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보는 세상을 제대로 이해해봅시다. 전색맹(全色盲)이 있는 사람은 색깔을 전혀 느끼지 못하고 명암만을 가릴 수 있습니다. 흑백사진을 보듯 세상을 경험하는 거죠. 적색약, 녹색약, 청색약을 가진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 붉은색은 붉은색으로 보이고, 푸른색은 푸른색으로 보입니다. 다만 그 대비가 명확하지 않아 색 간의 구분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각 증상을 가졌을 때 세상이 어떻게 보이는지를 가늠해보실 수 있을 거예요.좌측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보편적인 시각, 녹색약, 청색약, 적색약 ⒸTom van Beveren전 세계 인구의 4%가 색맹을 가지고 있습니다. 남성 12명 중 1명, 그리고 여성 200명 중 1명꼴이라고 보면 될 거예요. 이 중 많은 이들이 웹사이트, 앱, 온라인 쇼핑이나 게임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하지만 ‘색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과 ‘색을 구분하지 못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것’ 사이에는 차이가 있어요. 후자는 디자인 실패의 결과이죠.저는 색맹 UX 디자이너입니다. 디자이너들이 실천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대비 Contrast대비되는 색깔을 함께 배치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됩니다.대비가 강할수록, 색맹이 있는 사람도 객체들을 더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색채 Color색깔을 정보 전달의 유일한 도구로 사용하지 마세요.항상 텍스트나 아이콘 등으로 정보 전달 기능을 하는 다른 요소를 추가해주세요. (첫번째 엘리슨쇼의 글 참조)복잡하거나 어려운 것들이 아닙니다. 다만 생각하느냐 안하느냐의 차이입니다. 색맹을 가진 이들을 고려한 디자인은 쉽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색맹을 가지지 않은 다른 이에게도 명쾌한 가이드가 되어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출처 : https://www.invisionapp.com/inside-design/designing-for-colorblind-improves-designOur Philosophy아름다움에 대한 기준과 가치는 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미래에도 변하지 않을 지속 가능한 가치를 위해 디자인합니다. 우리는 디자인의 역할이 심미적인 것뿐 아니라 사람을 살리고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데에 있다고 믿습니다.MSV <Play>크라우드 펀딩 진행중
#MSV #MSV인클루시브디자인인사이트 #인클루시브디자인 #MSV임팩트레터
MSV 임팩트 메이커스는 포용적인 디자인을 위한 데이터 수집, 인터뷰 등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선한 영향력을 전달할 수 이는 코넨츠를 작성합니다. 해당 리뷰는 MSV 임팩트 메이커스 1기 활동으로 소정의 활동비를 받고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