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수원형 탄소중립정원 공모전_최종글

‘탄소중립’과 관련된 논의는 지난 1975년부터 시작되어 현재 전세계적 문제인 지구온난화의 해결책 중 하나로 대두되었다. 지구온난화가 가져올 피해는 물 부족 인구 증가, 해수면 상승처럼 물을 중심으로 발생 되나 아이러니하게도 지구온난화의 대항책 역시 물에서 찾을 수 있었다.
현재 탄소흡수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이 ‘바다’에 있기 때문이다. 바다에 서식하는 식물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하는 동안 물에 녹은 영양염과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유기물과 산소를 생산한다. 하지만, 최근 해양 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식물 플랑크톤의 개체 수가 감소하고 광합성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해 결과적으로 우리의 숨이 위협받는 결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우리의 숨을 책임지고 있는 바다 생태계를 지키고 보호하는 일이 탄소 중립으로 가기 위한 강력한 방법이자 현재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이에 따라 본 팀은 사람들에게 탄소 중립과 바다의 관계를 보이며 주체적인 관심과 행동을 촉구하기 위해 이 정원을 계획하게 되었다.
본 팀은 바다의 무한한 환경친화력과 지속가능성에서 영감을 받아 바다의 물결과 생태계를 표현한 정원을 구상했다. 대상지 내에 흙의 높이를 조절하여 바다의 동적인 느낌을 살리고자 했으며, 다양한 초화와 그라스류를 통해 우리가 지켜내야 할 수중 생태계를 다채롭게 표현했다. 정원이 조성될 부지의 맥락을 고려하여 설치 예술가 최정화의 작품에서 수원과 수원의 발전을 의미하는 ‘청개구리’의 상징을 빌려왔다. 정원 중앙에 폐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청개구리는 수원의 상징을 넘어 이 자연을 사람들이 아끼고 나서서 보호했을 때 더 지속가능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팀은 ‘업사이클링’, ‘정원의 지속가능성’, ‘컨테이너’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정해 정원의 세부적인 가치들을 선정했다.
업사이클링
업사이클링은 재활용품에 디자인 또는 활용도를 더해 그 가치를 높인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지형의 굴곡 외에도 파도가 일렁일 때마다 빛이 반사되어 형성되는 곡선을 바다 유리로 표현해 생생함을 주고자 했다. 식재와 함께 어우러지는 바다 유리는 폐유리 조각이 바다의 침식작용으로 인해 자연스레 형성되는 업사이클링 제품이며, 이는 단순 재료 표현 이상으로 의미가 있다. 또, 정원의 중앙에 자리한 청개구리는 ‘수원 업사이클링 플라자’의 강좌와 도구를 이용해 바다의 폐플라스틱으로 형상화될 예정이다. 이 과정과 결과물을 통해 사람들에게 탄소중립의 실천방안으로 업사이클링을 알리고 장려하고자 한다.
정원의 지속가능성
이 정원은 사계절 푸른 바다의 모습을 재현하기 위해 식재의 다양성을 유지하며 계절감을 드러낼 수 있도록 상록식물과 낙엽식물을 적절히 조합하여 계획하였다. 봄, 여름, 가을에는 서로 어울리는 색색의 꽃들을 관찰할 수 있도록 개화시기, 열매와 꽃의 색조합에도 신경을 썼다. 또한 한해살이풀이 아닌 여러해살이풀을 선정하여 매해 다시 심는 관리가 없어도 꽃을 피우고 이파리를 내도록 하였다. 식재를 선정할 때도 탄소를 저감해주는데 도움을 주는 이끼, 은사초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실제로 환경에 기여할 수 있도록 했다.
컨테이너
정원 주위에는 (유리로 된) 펜스가 쳐져 있어 관람객으로 하여금 컨테이너 조경수의 가치와 효용성에 대해서도 생각하도록 한다. 컨테이너 조경수는 컨테이너라는 보호막이 있기 때문에 다른 조경수에 비해 하자율이 낮고 세근의 발달 덕에 뿌리의 활착률이 비교적 높은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차용하여 탄소 중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바다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관심과 동참, 그리고 보호가 마치 컨테이너처럼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표현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컨테이너 조경수의 강점들과 우리가 주체적으로 지켜야 할 가치들을 중의적으로 담았다.
본 팀은 ‘바다를 지키는 청개구리’를 통해 사람들로 하여금 탄소중립과 조경의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실생활에서 흥미로운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다.